경제, IT 뉴스 하루 1분
IMF 수석 부총재 한국 세계경제 10분 인터뷰 내용 (동영상포함)
4050부자
2023. 2. 5. 20:58
728x90
반응형
2023년 올해와 이후의 우리나라와 세계경제 전망에 대해서 IMF 수석 부총재 인터뷰로 전해듣고자 합니다.
향후 실업률(고용), 인플레이션, 금리, 불평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Q. 올해 세계 경제가 좀 덜 우울해진다는 전망이긴 하지만, 사실 여전히 우울하긴 우울한 상황입니다.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A. We see a tough year ahead for the global economy, but there are signs of resilience so we have upgraded our growth for 2023 previously. It was 2.7 percent we've upgraded it to 2.9 and importantly. We expect growth to bottom out this year which means through the end of the year. We expect to see Improvement and into 2024 when growth will go up to 3.1 percent.
세계 경제에는 거친 한 해가 될 겁니다. 하지만 회복탄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 성장 전망을 상향 한 것이죠. 2.7%에서 2.9%로 상향했습니다. 연말에는 경제 회복에 진전이 있어서 내년 성장률은 3.1%가 될 겁니다.
Q. 세부적인 이유를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A. So the upgrade that we have of 2.9 from 2.7 percent comes from partly from China, which is China reopened quite suddenly towards the end of last year. And we expect to see growth come back and somewhat strongly especially starting on the second quarter of this year. As private consumption recovers and you have higher mobility in China.
In addition in Europe, the winter was less severe than we were expecting and energy prices have also come down so these forces help the global economy to some extent and which is why we had the upward revision.
일부는 중국 요인입니다. 중국이 지난해 말에 참 갑작스럽게 리오프닝으로 전환했습니다. 한 2분기 정도부터는 중국 경제가 상당히 강한 성장을 회복하리라 봅니다. 내수 소비가 회복되고, 이동이 더 활발해질 겁니다. 그리고 유럽의 겨울이 생각했던 것 보다는 매섭지 않았습니다. 에너지 가격이 안정되었고요. 이런 점들이 세계 경제 전망을 조금 상향 수정하는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Q. 지금 미국 경제 상황은 어떻게 평가합니까?
A. Labor markets in America are still quite tight. The unemployment rate is at a record low of three and a half percent but we expect to see labor markets soften, so we can see unemployment rate in the US are going up to say around five percent slightly higher into 2024, so that would mean that there would be more a more challenging labor market than what we have in the US right now.
미국 노동시장은 지금도 상당히 빡빡합니다. 실업률은 기록적으로 낮은 3.5%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금리 인상의 효과가 점점 나타날 것이기에) IMF는 미국 노동시장이 좀 부드러워지리라 기대합니다. 실업률은 2024년에 5%를 약간 상회할 것으로 봅니다. 그래서 앞으로 미국 노동시장은 지금보다 더 어려워지리라 생각합니다.
Q. 가끔 혼란스러운 게, 어떤 사람은 여전히 고용이 좋아서 좋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고용시장이 나빠져야 좋은거라고 해요. 뭐가 맞죠?
A. I think what we would all like is to be have high levels of employment in the economy. That everybody's looking for a job can find a job what we want to prevent. Though it is a situation where wage pressure has become very large so that it ends up with higher price pressures in the economy. Central bank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do is to soften that pace so that at least wage pressures don't become very severe, because otherwise we will live with high inflation for a very long time and that's just bad not just for cost of living but it's also bad for the labor market because eventually you will see businesses suffering from this and how's all suffering from it.
실업률이 낮으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모두가 원하는 직장을 구할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IMF는 임금 압력이 너무 커져서 이게 물가를 너무 높이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상황을 막고자 합니다.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낮춤으로써 물가를 낮추려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죠. 최소한 임금 상승압력이 너무 심각해지는 건 안돼요. 아니면 물가가 정말 높은 상황을 정말 오랜시간 겪어야 할 테니까요. 그건 생활비에 부담을 주는 동시에 노동시장에도 안좋아요. 결국 모든 경제주체와 가계가 힘들게 됩니다.
Q. 그 악순환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같은 것인가요?
A. We will have exactly that we would have the concern about having both High inflation with very weak growth so it's very important to bring down inflation durability.
IMF는 정확히 그 점을 우려합니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저성장의 고착화 말이죠. 그래서 물가를 바로 낮추는게 매우 중요한 겁니다.
Q. 이번에는 한국 얘기를 해보죠. 세계 경제 성장률은 살짝 높였음에도 한국은 성장률을 낮췄단 말이죠?
A. So compared to last year there is much more tightening of financial conditions globally. And also in Korea so because of that we are seeing some slowing down in the economy. Also coming from weakness and external demand so if you look at the data for the last quarter of last year. There was negative growth and that had to do with weakness in external demand a worsening trade balance that was the primary factor now there are some early signs of softening private consumption that is probably going to continue into this year. The other sector that is slowing down is the real estate sector in Korea. That is another area where adjustment is happening but we think that this is the adjustment that's required to bring down inflation durability and this is a healthy adjustment to happen but then later on we could see signs of recovery so therefore we will see growth slow down but at the same time we do see that. In the second half that growth will start looking up again for a career and one of the positive spillovers comes from the recovery in China.
지난해와 비교하면, 한국도 다른 나라들처럼 금리를 많이 높였어요. 그것 때문에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을 보고 있죠. 그리고 외부 수요(수출 실적)가 약해지고 있어요.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4분기 역성장을 했는데, 이게 외부수요 약화(수출 실적 약화)를 의미하죠. 무역수지가 악화됐구요. 이게 주요한 이유입니다. 또, 내수소비 증가세가 둔화되는 신호가 좀 보이는 상황이죠. 올해 내내 지속될 겁니다. 다른 요인은 부동산 시장 약화입니다. 조정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필요한 조정입니다. 인플레이션을 관리하고, 또 건전한 조정이 일어나게 하는 차원에서 그렇죠. 이게 지나고 나면 회복의 신호가 보일 겁니다. 따라서 성장이 점점 느려질텐데 동시에 하반기에 아마도 중국 회복의 긍정적인 효과를 받아서 성장이 다시 시작될 겁니다.
Q. 한국의 정책에 대한 평가나 제안도 부탁합니다.
A. In the case of monetary policy you know I agree with Governor Lee in terms of the trade-offs that have to be faced
which is you want to bring inflation down. The good news is that we think that inflation will gradually decline this year. ㄸEspecially core inflation so we should expect that to go down but you have to be data dependent and you have to go by what you're seeing in these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the real activity on inflation on the housing sector.
통화정책과 관련해서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에 동의합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를 겪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을 낮추길 원한다면 불가피해요. 좋은 소식은 물가가 점진적으로 올해 내내 낮아질 것이라는 점이고, 특히 근원물가가 중요한데 역시 그럴겁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데이터를 봐야한다는 점이고, 그 상황에 맞춰서 정책을 해나가야 한다는 점이죠.
Q. 지금 한국은 가스나 전기요금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에너지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A. The government right now wants to do a very targeted support approach and that we would agree with which is that our advice is for countries to provide targeted support on a temporary basis so to provide it to the vulnerable households and not to provide it more broad-based manner. That's important for fiscal prudence. It's important given the inflation
environment that the country is facing so I think that temporary and Target is the right way to go.
한국정부는 지금 특정 집단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IMF는 늘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표적화 된 정책을 한시적으로만 할 것을 각국에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의 접근법에 동의합니다. 너무 보편적인 접근을 하는 대신 보다 취약한 가계에 집중지원할 수 있게 될테니까요. 이건 재정 건전성과도 직결된 문제인데, 지금 각국이 물가 문제에 직면해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한시적으로 특정계층만 지원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Q. 어떤 불확실성이 가장 중요한가요? 신경쓰거나 주의깊게 보는 것이 있다면?
A. There are several risks. One of the risk is from if it turns out that inflation is actually much more persistent much more stubborn than central banks around the world will have to raise rates, even more I think that we can lead to corrections in markets and you could end up with a much faster tightening of Global Financial conditions which has implications for you know the us but also for the rest of the world a second risk is with respect to the war. The war is not over. We could see in a further escalation sanctions and countersections that has implications for the global economy.
China you know the virus seems to be running through the economy right now but at the same time we have seeing infections come down, so in our Baseline scenario we have that the Health crisis results itself relatively quickly and we see a resumption in in private consumption but if that's not the case that would be another downside risk.
And lastly geo-economic fragmentation is something that we are quite concerned about that countries are turning more protectionist which is they want to move production back home that we know is going to be damaging for the global economy.
많은 위험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될 경우를 꼽아야겠죠. 세계 중앙은행들의 생각보다 더 고집스러운 인플레이션이라면 그 때문에 금리를 생각보다 더 많이 올려야 할테니까요. 시장도 영향을 받을텐데, 그러면 세계 금융은 생각보다 더 긴축될 겁니다. 미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가 영향을 받게 될 수 밖에 없겠죠.
두 번째는 전쟁 경로입니다.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어요. 만약 긴장이 더 고조되고 제재와 맞제재가 반복된다면 이 또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겁니다.
세 번째는 중국인데 코로나가 지금은 광범위하게 퍼져있지만, 잠잠해질 것으로 봅니다. 우리의 기본적인 시나리오에서 보건 문제는 빠르게 해소됩니다. 그에 따라 내수소비가 빠르게 회복됩니다. 이대로 되지 않는다면 경제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겁니다.
마지막으로 지경학적 분절화(geo economic fragmentation)입니다. IMF는 상당히 우려합니다. 각국이 보호주의로 돌아서고, 제조업을 국내로 되돌리려고만 한다면 세계경제 전체에 해로운 일이 될테니까요.
Q. 그러니까 인플레이션 불확실성이 가장 크다는 말씀이신가요?
A.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sure that inflation comes down durably. There is a bit of a disconnect between what markets are expecting in the U.S and what the Federal Reserve has communicated. It will do so that's an environment when which it turns out that inflation is even stronger then markets will have to correct itself and that we know can have spill hours to the rest of the world so it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rns we have.
개인적으로 인플레이션을 확실히 잡는게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 미국에서 시장(월스트리트)의 기대와 연준이 말하는 정책 사이에는 불일치가 약간 있어요. 지금같은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좀 더 강력한 것으로 나타난다면, 시장은 지금의 기대를 수정해야 할 겁니다. 이건 당연히 전 세계에 파급효과가 있을테구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일 수 밖에 없죠.
Q. 최근 IMF에서 '불평등'을 주의깊게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The IMF continues to learn from its experiences of the past. And of course learns from all the knowledge that gets generated with all the research that happens both at the IMF but also externally. So we adapt with incoming knowledge learn from both our mistakes and from the successes that we have in how we've evolved our view but I think we just have a much better understanding now of how inequality and poverty can affect macro variables including the ability of functioning of monetary policy. And fiscal policy so we in our programs for instance we make sure that even if a country is reducing fiscal spending it's important that they provide for the most vulnerable people social safety nets. More generally climate has become a big issue for us to deal with because many countries are getting hit with climate shocks and they're having external financing problems that come with it so we're focused on climate digital money digital currencies and other big issues so as the new topics have come up we have expanded our work in all these important areas.
IMF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 IMF 안팎에서 나오는 최신의 연구들을 통해서도 지식을 습득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적응하는 겁니다. 우리의 성공과 실패 모두를 통해 배우고요. 그렇게 우리의 시야를 발전시킵니다. 이제 불평등과 가난이 거시경제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IMF가 훨씬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 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겁니다. 그래서 IMF는 각국과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각국이 재정지출을 줄이더라도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는 사회 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실히 지적합니다. 좀 더 넓은 틀에서 말해보면, 기후 변화가 IMF에도 중요한 문제가 됐습니다. 더 많은 나라들이 기후 충격을 받고 있고, 금융 등에서 그 영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IMF는 기후 문제에 집중합니다. 디지털 화폐도, 통화 문제도, 그 외 다른 큰 문제들도 새로운 주제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IMF는 이제 이 모든 것이 사명이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Q. 불평등 가운데서도 요즘은 소수가 대부분의 부를 점유하는 20대 80 혹은 10대 90의 불평등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해법이 있나요?
A. Equal access to opportunity when it comes to education, when it comes to health care, when it comes to financial literacy. All of this is absolutely critical to be able to reduce inequality you know we've seen countries where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has come down. Because of not because of differences in access to these kinds of opportunities and that's important to fix of course the particular policies you have on the fiscal side whether it comes to tax policy and expenditure policy also play a very important role.
교육의 문제나 의료 보호의 문제나 금융 문제나 똑같은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평등을 줄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접근권의 차이가 세대 간 부의 이동성을 저해한 국가들이 많거든요. 그걸 고치는 게 중요합니다. 물론, 세재나 지출과 같은 재정적인 측면의 구체적인 정책들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테고요.
728x90
반응형